Germany

2025년 독일 연봉 실수령액 (2024년 대비)

chbae 2025. 2. 5. 15:49
반응형

지난 31일 2025년도 첫 월급을 수령했다. 아직 연봉 인상분 반영 전이여서 총 연봉은 똑같은데 실수령액이 2024년 대비해서 줄어들어서 왜 그런지 비교를 해보려고 항목별로 자세하게 분석을 해보았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연봉 80000유로 기준으로 매달 약 45유로 정도 줄어든다.

 

독일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https://www.steuergo.de/en/rechner/brutto_netto_rechner 에서 제공하는 계산기를 이용하였다. 입력항목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입력하였다.

 

연봉 비교 예제에서 사용한 데이터 값 (연봉 80000유로 기준)

  • 세금 클래스: 독일은 1부터 6까지 세금 클래스가 있다. 아래 예시에서는 세금 클래스 3을 적용하였다. 
    • 세금 클래스 1: 미혼, 사별, 별거/이혼
    • 세금 클래스 2: 편부모 가정, 별거 (최소 아이 1명 이상)
    • 세금 클래스 3: 기혼 (수입이 더 많은 쪽 또는 외벌이)
    • 세금 클래스 4: 기혼 (맞벌이고 수입이 비슷)
    • 세금 클리스 5: 기혼 (수입이 적은 쪽)
    • 세금 클래스 6: 세컨 잡
  • 아이 1명
  • 교회세: 안냄
  • 지역: 베를린
  • 건강보험: 독일에서 가장 가입자가 많은 공보험 TK 기준으로 2025년에는 2.45% 추가 기여분, 2024년도에는 1.2% 추가 기여분이 적용

2025년도 독일 연봉 실수령액 (연봉 80000유로 기준) - 월 4552,29유로

 

 

2024년도 독일 연봉 실수령액 (연봉 80000유로 기준) - 월 4597.13 유로

 

 

2024 vs 2025 항목별 비교

사회 보장 기여분

  • 개인 연금: 총 소득의 18.6% 를 내야하며 고용주와 각각 9.3%씩 납부한다. 연금 최대치는 2024년에 연봉 90,600 유로, 2025년에는 연봉 연봉 96,600 유로로 매년 증가한다. 여기 예시에서는 연봉 80000유로 기준이기 때문에 개인 연금은 동일하다.
  • 실업보험: 총 소득의 2.4%를 내야하며 고용주와 각각 1.2%씩 납부한다. 세율 변화가 없어서 동일하게 납부한다.
  • 장기요양보험: 2024년도에는 3.4%에서 2025년도에 3.6%로 인상되었다. 고용주와 각각 절반을 부담한다. 즉, 2025년도에 약간 더 부담한다.
  • 건강보험: 총 소득의 14.6% 를 내야하며 고융주와 각각 7.3%씩 분담한다. 추가 기여율은 보험사마다 다르고 TK 기준으로 계산을 하였다. 개인 연금과 마찬가지로 최대 납부치가 있고 2024년에는 연간 66,150 유로에서 2025년도에는 68,400유로로 올라서 2025년도에 더 많이 부담한다.

세금

  • 소득세: 기본 면세 한도가 11,784유로에서 2025년도에는 12,096로 늘어 실제 받는 금액은 약간 늘어났다.

결론

 

2024년도에 비해 2025년도는 세전 연봉은 같아도 실수령액은 줄어들었다. 가장 큰 이유는 사회 보장 기여분인 장기요양보험과 건강보험이 늘어났고 특히 건강보험의 여파가 크다. 개인 연금 최대 상한선보다 더 많이 연봉을 받는 근로자는 실수령액이 더 많이 줄어든다.

 

안타까운건 올해 연봉도 그다지 많이 오를것 같지 않아.. 실수령액 기준으로 거의 오르지 않거나 마이너스가 되는 근로자도 상당수 될 것 같다. 물가는 오르고.. 연봉은 실수령액 기준으로 마이너스가 되는 상황을 맞이하려나 ㅠ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