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1 - [Development] - 라즈베리파이4에 QNX 8.0 OS 올리기 #1 에서 QNX 8.0 무료 라이선스를 받는 방법을 알아보고 QNX Software Center를 다운로드를 해 보았다. 그 이후 라즈베리파이4 QNX 이미지를 받아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이 이미지를 SD Card에 넣고 실제 부팅까지 해보려고 한다.
라즈베리파이4에 QNX 8.0 OS 올리기 #1
이전 블로그 글에서 QNX SDP 8.0을 무료 라이선스를 받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QNX SDP 8.0 라즈베라파이 용 OS (운영체제)를 받아서 실행해보도록 한다. 아래 순서대로 하면 방법
www.yocto.co.kr
SD Card에 이미지 굽기
- https://www.raspberrypi.com/software/ 에서 Raspberry Pi Imager (MAC, Linux, Windows 모두 지원) 를 받아서 실행을 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 실행 후 Raspberry Pi Device 에서 RASPBERRY PI 4를 선택한다.
- Operating System에 CHOOSE OS를 클릭한 후 제일 밑에까지 내려가서 Use Custom을 선택한 후 다운로드 받은 QNX OS 8.0 이미지를 선택한다.
- Storage는 SD Card를 선택한다.
- 설정을 하고 Next를 누르면 이미지가 SD Card에 구워진다.
SD Card 내용
- config.txt: 라즈베리파이의 부팅 설정을 정의하는 텍스트 파일이다. CPU 클럭 속도, GPU 메모리 할당, 부팅 옵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 bcm2711-rpi-4-b.dtb: Raspberry Pi 4 Model B용 Device Tree Blob(DTB) 파일이다. 하드웨어 정보를 커널에 전달하여 올바르게 초기화할 수 있도록 한다.
- fixup4.dat / fixup4cd.dat / fixup4db.dat / fixup4x.dat: 라즈베리파이의 GPU 펌웨어 보정(Fixup) 데이터이다. 시스템 부팅 과정에서 메모리 설정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 ifs-rpi4.bin: QNX OS의 부팅 이미지 파일이다. IFS(Image File System) 형식이며, 커널과 필수 시스템 파일들을 포함하고 있다. 라즈베리파이의 펌웨어가 이 파일을 로드하여 QNX를 실행한다.
- start4.elf / start4cd.elf / start4db.elf / start4x.elf: GPU부트로더 및 커널 로더 역할을 하는 실행 파일(ELF 형식)이다. start4.elf는 표준 부팅용, start4cd.elf, start4db.elf, start4x.elf는 각각 다른 메모리 및 디바이스 설정을 지원하는 변형 파일이다. 부팅 과정에서 bootcode.bin을 로드한 후 실행된다.
라즈베리파이 4 환경 설정
라즈베리파이 4에 Micro HDMI to HDMI 케이블로 모니터에 연결하고 USB 키보드/마우스를 연결하였다. 이후 QNX OS 8.0이 담긴 SD Card를 Raspberry Pi에 꼽고 부팅을 하였다.
라즈베리파이 4에서 QNX OS 부팅
부팅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가운데 전원 버튼을 누르면 다음단계로 넘어간다.
login은 qnxuser/qnxuser 또는 root/root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예제 앱으로 gles2-gears, gles2-maze 등과 같은 그래픽 애플리케이션, blinq 브라우저를 지원하여 보여준다.
QNX OS 예제 애플리케이션
위의 화면은 gles2-maze 앱이고 아래는 blinq 브라우저이다. 브라우저는 메모리 부족 문제로 여러번 사용하면 다운된다.
정리
QNX OS 8.0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풀렸다. 간단한 가입절차에 의해 받을 수 있고 라즈베리파이에서도 쉽게 돌릴 수 있도록 이미지까지 제공한다. 당연히 수정할 수 있도록 BSP도 함께 제공하니 여러가지 실험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QEMU도 기회가 되면 글로 정리해볼까 한다.
라즈베리파이 4에서는 예제 애플리케이션에서 본 것과 같이 그래픽도 지원한다. 하지만 QEMU에서는 공식적으로 그래픽 가속이 지원이 되지 않는다. 비공식적으로 QNX에 문의를 하면 QEMU X86-64에 대해서는 이야기해줄 수도 있으니 한번 컨텍해보기 바란다.
다음 글에서는 라즈베리파이4 이미지에 오픈소스 하나를 빌드하여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적어볼까 한다.
'Develo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QNX 가상 머신 이미지 생성 및 실행 (QEMU + mkqnximage 활용법) (0) | 2025.04.07 |
---|---|
라즈베리파이4에 QNX 8.0 OS 올리기 #1 (11) | 2025.03.11 |
글로벌 팀과의 의미 있는 연결을 만드는 방법 (0) | 2025.02.26 |
내 PC를 GitLab Runner로 등록하여 사용 (0) | 2025.02.12 |
MacOS에서 유용한 모니터링 도구 (1)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