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anager 5

MB 리더십 교육

이번주에 1달 반 동안 온라인으로 진행했던 리더십 교육이 끝났다. 이번 교육은 Technical Leadership으로 가려고 하는지 People Leadership 으로 가는지에 대해 한번 생각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회사에서 연초에 리더십 교육을 받을 사람들을 지명하고 독일어나 영어로 전체 그룹사에 교육이 오픈이 된다. 그러면 맞는 시간대에 선착순으로 들어가서 신청을 하고 최종 확정을 한다. 코로나 전에는 오프라인 교육이였다고 하는데 이후에 이 교육은 온라인으로 바뀌었다. 매주 한번씩 2시간 반씩 6개의 세션으로 구성된다. 중간중간 다음 세션을 위한 준비를 해야한다. 첫번째는 12명의 리더십 교육을 듣는 참가자와 진행자가 함께 교육 소개를 하고 4명씩 3개의 팀을 구성한다. 그 이후 총 4..

Etc 2024.11.07

독일과 한국의 매니저 (팀장) 생활 차이

회사에서 하는 리더십 교육을 듣고 있는데 다음 세션 전까지 해야 될 것 중 하나가 매니저 2명과의 인터뷰이다. 한명은 지금 회사에서 Engineering Lead가 되었고 승진해서 Senior Engineering Lead 이 된 친구, 다른 한명은 미국에서 일을 하고 4년 전에 지금 회사에 합류한  Senior Engineering Lead 보다 한단계 높은 Head 였다. 이들과 이야기를 하다가, 특히 미국 문화를 겪은 친구와 이야기하다가 갑자기 한국과 독일의 매니저에 대해서 생각을 하게 되었다. 아래는 GPT-4o에게 물어봐서 얻은 답변이다. 한국에서 10년 이상 근무를 했고, 독일에서 6년정도 근무한 필자로써 어느정도는 맞다고 생각한다. 물론 6년 사이에 많이 변했다는 것도 알고 있지만 큰 틀은 ..

Germany 2024.09.22

리더십 (leadership) 교육

회사에서 진행하는 리더십 교육을 듣고 있다. 코로나 전에는 3일짜리 Offline 교육이였다고 하는데 이제는 온라인으로 2달 코스로 진행이 된다. 전세계에 있는 직원들이 듣고 있고 12명이 이번 과정에 참여한다. 첫번째 소개 세션은 4시간 동안 했고 거기서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주어진 4개의 임무를 그룹별로 진행한다. 우리팀에는 싱가포르, 이탈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있는 친구들이 있고 모두 각기 서로 다른 일을 하는 친구로 배정이 되었다. 각 임무의 호스트는 모든 사람이 한번씩 돌아가고 갈등 해결, 미래 커리어 등의 임무들이 주어져 있다. 첫번째 모임을 하기전에 사전에 정해진 항목으로 2명의 매니저와 인터뷰, 1명의 동료와 인터뷰, 1명의 친구 (업무를 같이 하지 않는 지인)와 인터뷰를 진..

Development 2024.09.12

Weekly - CW11 (2024년 3월 11일 ~ 17일)

독일 공항 파업으로 슈투트가르트에서 어제 베를린으로 돌아가야했지만 하루 늦게 오늘 가려고 비행기를 기다리고 있다. 3월 들어서 너무 여기저기 파입이 많다. 대중교통, 비행기 번갈아 가면서 파업을 해서 계속 피해를 보고 있다. 업무 월요일부터 수요일까지 VSM (Value Stream Mapping) Workshop을 참여해서 자율주행쪽 동료들과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자세한 이야기는 이전 블로그 글을 참고하면 된다. 다양한 곳에서 여러 동료들을 새로 알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목요일에는 같이 일하는 Mercedes Benz 분들과 BASE에 대해서 좀 더 심도 있는 미팅을 했고 다음주에 Base와 Platform Core를 통합하는 이야기를 돌아가서 해야할 것 같다. 이에 대한 내용도 다음주 초에 ..

Daily 2024.03.16

독일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에서의 진급 체계 및 승진 조건

어제 회사 Summer Party에서 동료와 승진 과정 및 조건에 대한 주제가 나와서 간단히 글을 적어보고자 한다. 지금 기준인 지금 필자가 있는 회사기준이고 모든 독일회사가 동일하지는 않다. 그리고 Staff, Principal 엔지니어에게 요구되는 덕목(?)도 요즘에 많은 고민을 하고 있고 관련된 서적도 읽고 있어서 그 책을 다 읽고 이와 비슷한 이야기를 다시 적고자 한다. 위의 그림은 일반적인 커리어 패스에 대해서 개발 패스와 매니저 패스로 나눠서 체계를 잘 적어놓았고 필자의 회사와 완벽하게 포지션 명까지는 일치하지 않지만 대략 비슷하다. 대부분 경력 10-15년차정도 되는 개발자들은 위의 그림 기준으로 시니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된다. 필자의 회사에서도 시니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엔니지어링 매..

Development 2023.09.16
728x90
반응형